개성공단 출범에서 조업중단까지_메가세나 게임 승리를 기원합니다_krvip

개성공단 출범에서 조업중단까지_베토 전화 피자 가게_krvip

개성공업지구(개성공단)는 남측의 자본과 기술에 북측의 토지와 인력을 결합한 남북교류협력 사업이다. 여러 부침이 있었지만 그동안 남북한의 관계개선 등과 관련해 개성공단은 의미 있는 평가를 받아왔다.

개성공단의 역사는 김대중 정부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고(故) 정몽헌 현대그룹 회장에게 공단 개발을 제안했다.

2000년 8월 당시 현대그룹과 북한 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는 6,600만㎡ 규모로 공단을 개발하기로 합의했고, 2003년 6월 부지조성 공사에 들어갔다.

1년 뒤인 2004년 6월 시범단지에 15개 입주 기업이 계약을 체결하고 준공식을 열었다. 같은 해 12월 리빙아트가 '통일냄비' 1,000세트를 생산한 것을 시작으로 2007년 1월엔 누적 생산액 1억 달러를 돌파했고 이듬해인 2008년 11월엔 5억 달러를 달성했다.

[연관 기사]☞ 개성 공단 내일 첫 제품 출시 (2004.12.14)

그 사이 개성공단에서 일하는 북측 근로자도 2만 명을 넘어섰다.

첫 생산을 시작한 이후 10여 년이 지난 지금 개성공단에는 5만 4천여 명의 북한 근로자와 8백여 명의 남측 근로자들이 근무하고 있다. 입주업체도 꾸준히 늘어 124개 업체가 가동 중이다.

지난해 개성공단의 생산액은 5억 달러를 넘어섰다. 누계 생산액은 31억 달러에 달한다.

현대경제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북측은 개성공단을 통해 외화 3억 7,540만 달러를 벌어들였고, 남측은 매출과 설비투자 등 32억 6,400만 달러의 직접적 내수 진작 효과가 있었다.
홍용표 통일부 장관은 오늘 성명을 발표하면서 "지금까지 개성공단을 통해 총 6,160억원(5억 6천만달러)의 현금이 유입되었고, 작년에만도 1,320억원(1억 2천만불)이 유입되었으며, 정부와 민간에서 총 1조 190억원의 투자가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남북관계의 변화에 따라 개성공단의 입지도 흔들렸다.

2009년 북한 핵실험과 2010년 천안함 사건, 연평도 포격 사건 등 남북 간 갈등이 깊어질 때마다 북측은 개성공단을 위협의 대상으로 삼았고, 남측도 강경 대응 입장을 고수했다.

특히 2009년에는 개성공단에서 일하던 남측 근로자 한 명이 북한에 억류됐다가 137일 만에 풀려났고, 2013년에는 134일 동안 개성공단이 폐쇄되기도 했다.

[연관 기사]☞ ‘개성공단’ 전원 철수…안전 보장 위해 불가피 (2013.4.26)

2013년 9월 개성공단은 재가동됐지만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미사일 발사로 2년 5개월여 만에 다시 조업이 전면 중단되게 됐다.

(그래픽) 개성공단 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