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WSJ, 한국 학원의 경쟁력 소개_아침의 왕 빙고 예고편_krvip

美 WSJ, 한국 학원의 경쟁력 소개_게임 카지노 내부와 방법_krvip

아만다 리플리 신간서 "학원, 한국 교육발전에 기여" "미국도 교육 초강대국 한국에서 배울 점 있다" "한국 학생들은 세계에서 가장 우수하다. 한국의 유명 학원 강사들은 부자가 될 수 있다. 미국이 이러한 교육 초강대국으로부터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WSJ)은 3일(현지시각) 미국의 저명한 저널리스트인 아만다 리플리의 신간 <세계에서 가장 영리한 학생들, 그리고 그들은 어떻게 방법을 찾았나>를 발췌한 글을 실었다. 리플리의 신간은 오는 13일 출판사 시몬 앤드 슈스터가 펴낼 예정이다. 리플리는 먼저 온라인 강의를 통해 막대한 돈을 벌어들이는 인기 영어 강사 김기훈 쎄듀 대표이사를 소개했다. "김기훈은 한국에서 1년에 400만 달러(45억원)을 벌어들인다. 김기훈은 한국에서 `록스타 강사'로 알려졌다. 김기훈은 `학원'으로 불리는 방과 후 교육 기관에서 20년 이상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김기훈은 전 세계 대부분의 교사와는 달리 교육 기술에 대한 수요에 따라 돈을 받는다. 그에 대한 수요는 매우 높다. 김기훈은 1주일에 60시간 이상을 영어 교육과 관련한 일을 한다. 하지만, 직접 강의를 하는 데 쓰는 시간은 세 시간 정도에 불과하다. 그의 강의는 동영상으로 녹화되며, 그의 강의 동영상은 1시간당 4 달러 정도면 구매할 수 있는 상품이 된다. 그는 나머지 시간은 학생들의 온라인 질문에 답을 하거나 강의 계획을 발전시키고 교재를 저술하는 데 쓴다." 김 대표는 "나는 일을 열심히 하면 할수록 더 많은 돈을 번다"면서 "나는 그것을 좋아한다"고 말했다고 리플리는 전했다. 리플리는 한국을 찾은 이유에 대해 미국이 세계의 교육 초강대국들로부터 배울 점이 무엇인가를 찾기 위한 탐방 작업의 하나였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리플리는 한국이 부분적으로 학원과 같은 사교육 시스템 덕분에 과거 수십 년 동안 교육 제도를 극적으로 발전시켰다고 주장했다. 리플리는 60년 전 한국인은 대부분 문맹이었지만, 현재 15세 이하 한국인은 읽기 부문에서 세계 2위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인의 고교 졸업률은 93%로 미국의 77%보다 훨씬 높다고 말했다. 리플리는 대부분 나라에서 사교육 제도는 있지만, 한국의 학원처럼 시장 침투에 성공한 사례가 없다고 강조했다. 또, 한국에서 사교육 교사, 즉 학원 강사는 이제 학교 교사들보다 많다고 말했다. 한국의 학원 제도는 학생들과 교사들의 수월성과 혁신을 촉진했으며, 한국이 교육 초강대국이 되는데 도움을 주었다고 리플리는 강조했다. 물론 학원 제도는 교육전쟁을 불러오고 부자들에게 더 좋은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부작용도 없지는 않다고 리플리는 말했다. 리플리는 "이런 교육 제도 아래서 한국의 학생들은 하루에 두 번 등교한다. 한번은 낮에 학교에서 교육받기 위해, 또 한 번은 밤에 학원에서 공부하기 위해 등교한다"고 말했다. 다시 리플리는 인기 영어 강사 김 대표의 성공 사례로 화제를 돌렸다. 김 대표가 벌어들이는 수입 대부분은 연간 15만 명이 수강하는 온라인 강의에서 나온다고 리플리는 전했다. 김 대표는 자신의 이름이 붙은 온라인 강의를 개발하기 위해 30명을 고용하고 있으며 그가 온라인 강의를 하는 메가스터디 학원은 한국 증시에 상장되어 있다고 리플리는 전했다. 그러면서 한국의 학생들은 4명 가운데 3명꼴로 사교육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리플리는 "김기훈과 같은 인기 강사를 만난 것은 매우 흥미로웠다"면서 미국에서는 돈을 벌려면 은행가나 법률가가 되어야 하지만, 한국에서는 학원 강사도 많은 돈을 벌 수 있는 직업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의 학교들이 교사들을 백만장자로 만들 수는 없겠지만, 이러한 붐을 일으키는 한국의 교육시장으로부터 배울 점이 있다"면서 교사들에게 어떻게 동기를 부여하고, 학부모와 학생들의 마음을 어떻게 사로잡고, 변화하는 세계에 어떻게 적응할 것인가라는 점을 배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리플리는 학원이 `완전한 실력주의 사회'(pure meritocracy)에 가깝다면서 한국의 학원 강사들은 능력에 따라 보수를 받고 있으며, 평가는 오직 얼마나 많은 학생이 수강신청을 하느냐에 달렸다고 강조했다. 지난 수십 년간 한국의 정부들은 1980년대 과외금지 조치 등 사교육 시장을 길들이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써왔지만, 한국의 학원들은 이러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살아남았다고 리플리는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