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센티브 제도가 개인의 부정행위 부채질”_번역가로 돈 버는 방법_krvip

“인센티브 제도가 개인의 부정행위 부채질”_바카라 정률법_krvip

직장에서 임금체계를 성과와 연동하거나 학교에서 독서량에 따라 칭찬스티커를 주는 등 우리 사회에 일상적으로 자리 잡은 '인센티브' 제도가 개인의 부정을 유도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21일 이상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부연구위원이 한국경제학회에 발표한 '인센티브 지급 방식이 성과와 부정행위에 미치는 효과 연구' 논문을 보면, 조직이 제공하는 인센티브 강도가 클수록 개인의 부정행위가 증가했다.

이는 설문조사 요원 81명(19~21세 성인남녀)이 2시간 동안 조사를 수행하는 모습을 관찰한 결과다. 실제로 조사하지 않고 거짓으로 결과를 작성할 때 부정행위로 간주했다.

참여자 81명은 인센티브 지급 방식에 따라 A조(총임금의 70%를 미리 주고 성과의 70%를 만족하면 성과에 연동해 나머지 30%를 지급), B조(총임금 100%를 미리 주고 성과를 100% 달성하지 못하면 차액을 환수), C조(총임금 100%를 미리 주고 성과의 7
0% 이상을 달성하면 성과와 연동해 추가 인센티브 제공), D조(성과와 무관하게 최저임금 고정 지급)로 나눴다.

최소임금 기준으로 보면 인센티브 강도는 A≥B≥C≥D 순이다.

실험 결과 설문조사 수행 결과는 A조와 C조가 각각 18개로 가장 많았다. B가 16.4개, D가 14.8개로 뒤를 이었다.

그러나 인센티브가 강할수록 부정행위도 늘어났다. 부정행위 건수는 A조가 9.1개, C조가 7.1개, B조가 6.4개였고 고정급여를 준 D조는 3.5개로 가장 적었다.

인센티브 제도가 총량 면에서 개인의 노력을 최대한 이끌어내는 기제인 것은 맞지만, 인센티브의 강도에 따라 부정행위가 동반돼 성과가 늘어났다는 의미다.

이 연구위원은 "부정행위가 단순한 탐욕, 이기심, 과시욕으로 발생할 수 있지만, 부정행위를 저지르는 것이 꼭 개인의 문제만으로 귀결돼 무조건 처벌하는 것이 바람직한 해법은 아닐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강력한 인센티브 보상체계는 양적 성과를 늘리는 반면 부정행위에 대한 감시 비용과 이에 대한 처벌비용이라는 사회적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