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그룹 주도권 경쟁 ‘안갯속’ _마르타 카지노 수의학 사무실_krvip

금융그룹 주도권 경쟁 ‘안갯속’ _폐쇄형 포커를 치다_krvip

3대 금융그룹사 간 주도권 경쟁이 안갯속으로 빠져드는 분위기다. 세계적인 금융위기 여파로 영업 환경에 변화가 커지면서 수익성과 건전성, 자본적정성 등 측면에서 순위가 엎치락뒤치락하고 있다. 금융업계는 4분기 이자 수익의 증가 폭과 부실여신 처리에 따른 대손비용 감소 폭에 따라 올해 주도권 경쟁이 판가름날 것으로 전망했다. ◇KB금융 건전성 으뜸 5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9월 말 현재 금융그룹별 총자산 규모는 KB금융이 331조1천억원으로 최대 금융 그룹의 지위를 유지했다. 우리금융이 328조4천억원으로 뒤를 이었고 신한금융은 311조2천억원이었다. 하나금융은 160조1천억원으로 3대 금융그룹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KB금융은 자산의 건전성 측면에서도 수위를 차지했다. KB금융의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9월 말 현재 1.41%로 3대 금융그룹 중 가장 낮았다. 신한금융은 1.61%로 뒤를 이었고 우리금융은 1.99%에 그치며 하나금융의 1.64%보다 낮았다. 주력 계열은행의 중기대출 연체율도 순위가 유사했다. 국민은행은 중기대출 연체율이 1.27%로 상대적으로 낮았고 신한은행 1,44%, 우리은행 1.50%, 하나은행 1.82% 순이었다. 시가총액은 KB금융이 4일 현재 22조4천470억원으로 신한금융(21조8천132억원)을 간발의 차로 앞서고 있다. 우리금융은 12조7천350억원, 하나금융은 7조4천360억원을 기록했다. ◇신한금융 자본적정성.우리금융 수익성 선두 신한금융은 자본적정성인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9월 말 현재 13.3%로 가장 우수했다. KB금융은 12.8%였으며 우리금융과 하나금융은 각각 12.1%와 12.4%였다. BIS 기준 기본자본비율에서는 KB금융이 9.1%로 가장 높았고 하나금융 8.5%, 신한금융 8.2%, 우리금융 8.1%순이었다. 신한금융은 올 1~9월 1조491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올려 금융업계에서 유일하게 1조원대를 기록했다. 우리금융은 순익이 1분기 1천620억원, 2분기 2천230억원, 3분기 4천840억원 등으로 꾸준히 증가하면서 연말 1조원대 진입을 넘보고 있다. KB금융은 경기침체에 따른 이자 마진 감소로 2분기와 3분기 순익이 각각 1천억원대에 그치면서 누적 순이익 5천220억원에 머물렀다. 수익성 측면에서는 우리금융이 선두를 달렸다. 우리금융의 자기자본이익률(ROE)은 9월 말 현재 9.1%로 신한금융(7.5%)와 KB금융 4.22%를 웃돌았다. 우리금융의 총자산이익률(ROA)은 0.4%로 신한금융(0.5%)과 비슷했으며 KB금융은 0.26%였다. ◇NIM.충당금 규모 변수 금융업계는 4분기 이자수익 개선 정도와 충당금 적립 규모 등이 주도권 경쟁에 주요 변수가 될 것으로 분석했다. KB금융은 9월 말 현재 2.2%인 국민은행의 NIM이 연말 2.5%대로 상승하면서 이자이익도 큰 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민은행은 6개월 주기 변동금리형 대출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특성 탓에 전분기대비 NIM 상승폭이 3분기에 0.04%포인트에 그치며 다른 은행보다 작았다. 신한금융은 3분기 동안 0.28%포인트 상승한 그룹 NIM이 4분기에도 0.20%포인트 정도 추가 개선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NIM이 9월 말 1.81%에서 연말 2% 이상으로 올라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당국의 건전성 개선 권고에 따른 은행들의 NPL 비율 하향 노력이 미칠 영향도 주목된다. 신한금융은 신한은행이 연말 NPL을 목표치인 1% 이하로 낮추는 과정에서 250억원의 수익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반면 자산규모 1, 2위인 KB금융과 우리금융은 NPL 비율 조정에 따른 충당금 비용 부담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민은행은 연말 NPL 비율을 1% 수준으로 맞추려고 4분기중 충당금을 약 1천억원 더 쌓을 예정이며 우리은행은 NPL 비율을 9월 말 1.9%에서 연말 목표인 1.34% 수준으로 낮추는 과정에서 1천억원 이상 추가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정태 하나대투증권 애널리스트는 "자산보다는 수익 규모 면에서 금융업계 주도권이 판가름날 것으로 보인다"며 "은행과 카드 등 계열사의 NIM 회복 정도와 함께 부실자산 정리 과정에서 비용 처리 시기나 규모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