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도입 허술_베토 카레로 예측_krvip

기술도입 허술_돈을 버는 믿을 수 있는 게임_krvip

신은경 앵커 :

우리나라 기업들은 그동안 선진기술을 확보하기 위해서 지난해 말까지 50억 달러에 이르는 기술료를 지불해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기술도입 단가가 높아지고 있고 선진국들이 핵심적인 기술은 이전을 꺼리고 있는데다가 우리 정부의 관리마저 허술해서 그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몽룡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몽룡 기자 :

국내업체 기술도입 건수는 지난 89년 763건을 고비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기술도입 댓가로 외국에 지불한 로열티 총액은 지난해 11억 달러에 달해 기술도입 건수별 단가는 높아지고 있습니다.

나라별로 보면은 지난해 말까지 우리가 도입한 기술 6,950건 가운데 일본에 3,540건으로 절반을 넘어섰고 미국, 서독, 영국, 프랑스의 순으로 돼있습니다.

업종별로 보면 전자.전기, 기계, 정유화학의 순입니다.

우리의 원본기술이 없어 국내기업들은 선진기술 확보를 위해 가장 빠른 방법으로 기술도입을 서둘러 왔지만 기술선진국들이 최근에는 기술도입료의 특허료까지 가산해 도입단가가 비싸지는데다 정작 신기술은 이전을 꺼려하고 있습니다.


김운섭 (삼성전자 기술기획부장) :

선진국에서 가장 핵심적인 기술과 핵심부품에 대해서는 기술의 이전을 기피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술료를 과다하게 요청하는 회사도 많습니다.

그런 일로 저희들이 상당히 곤욕을 치르고 있습니다.


이몽룡 기자 :

전자교환기와 같이 기술을 도입해 우리 독자모델을 개발한 성공사례도 있지만 대부분의 기술도입은 제품의 판매에만 목적을 두고 있는데다 기술도입의 효용성에 대한 분석과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이진주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

기술의 인력에 문제라든지 혹은 자체기술을 해서 그것을 바탕으로 해서 좀더 높은 기술을 가져오게 한다든지 하는 그런 측면에서 지금 상당히 정부의 지원이 부족한 상태라고 보고 있습니다.


이몽룡 기자 :

현재 기술도입업무는 상공부에서 주관하고 있는데 기술도입의 중복여부와 효용성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데다 도입건수를 포함한 기본적인 자료파악조차 게을리 해 기술도입 관리에 허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