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의 ‘무모한’ 도전…아프리카로 간 선생님들_보너스 얘들아 내기_krvip

그들의 ‘무모한’ 도전…아프리카로 간 선생님들_브루노 헨리케는 얼마를 벌나요_krvip

교사 결석이 심각한 사회 문제인 아프리카. 이곳에선 선생님의 지각과 결석이 잦아 수업보다 자습을 할 때가 더 많다. 교실에는 제대로 된 교구 하나 없다.

이 거칠고 척박한 땅에 지난 2008년 '희망이 곧 교육(Hope is Education)'이라는 뜻을 품은 한국인 교사들이 도착했다. 아프리카의 자립을 위해선 교육이 필요하고, 그 핵심에 '교사 교육'이 있다는 믿음에서 시작된 '호이(HoE) 프로젝트'다.

처음 접하는 아프리카의 낯선 환경에서 프로젝트에 대한 의구심과 회의감이 밀려올 때마다 선생님들은 '교육을 통해 삶이 변화할 수 있다'는 희망을 떠올렸다.

올해로 10년이 된 '호이 프로젝트' 기록을 따라가며 교육에서 움트는 놀라운 변화와 성장을 만나본다.

벼랑 끝에서 시작된 삶

2008년 11월, 박자연 씨는 무작정 A4용지 2장짜리 사업 계획서를 들고 거리로 나섰다. 아프리카 어린이들에게 더 나은 교육을 제공하고 싶다는 마음에서다.

사실 자연 씨는 대학 시절 법학을 전공해 7년 동안 고시 준비를 해왔다. 하지만 결과는 늘 불합격. 이후 취업을 위해 100군데 넘게 이력서를 냈지만 어디에서도 답은 오지 않았다.

온 세상이 절벽이라고 느낄 때쯤 자연 씨는 NGO 봉사활동으로 아프리카를 만나게 됐다. 그녀에게 있어 그것은 삶의 마지막 불씨 같은 것이었다.


그녀의 무모한 도전에 많은 사람이 관심을 표했다. 2011년, 자신의 재능을 나누려는 교사들과 함께 자비를 들여 아프리카 케냐로 날아갔다. 희망이 곧 교육이라는 '호이 프로젝트'는 그렇게 태어났다.

변화는 서서히 시작된다

거칠고 메마른 땅에서 나무가 힘겹게 뿌리를 내리듯, 호이 프로젝트도 초반에는 순탄치 않았다.

가장 큰 문제는 언어였다. 아프리카 케냐 교사 중에는 부족어만 알고 영어를 알지 못하는 이들이 많아 소통이 어려웠다. 그런 점이 때로 한국 교사들에게 무력감을 줬다.

게다가 케냐에선 교사에 대한 국가 지원이 전무해 제대로 된 대학 교육조차 받지 못한 현지 교사들이 태반이었다.


호이는 그들이 정식 교사 자격을 갖출 수 있도록 대학 교육을 지원했다. 매학기 등록금을 마련하는 게 만만치 않았지만, 한국 교사들은 십시일반으로 마음을 모았다.

"저는 선생님이 되고 싶었고, 호이가 오기 전에 저는 자격을 갖춘 교사가 아니라 그냥 일반인이었죠. 하지만 호이가 와서 제 부모님이 되어 주었어요. 제 아버지가 못 해준 걸 호이가 해 줬어요. 저를 자식으로 입양해 주었죠."
- 조이스/케냐 교사 -


그 결과, 현지 선생님 여덟 명이 대학을 졸업할 수 있었다. 고향으로 돌아간 교사들은 더 효율적인 방법으로 아이들을 가르칠 수 있게 됐다.

호이가 케냐에 이어 발걸음을 옮긴 곳은 우간다였다. 비포장 도로를 1시간 반씩 달려야 겨우 도착할 수 있는 오지 학교를 방문해 현지 선생님들의 수업을 듣고 의견을 제시해 더 나은 교육 환경을 만드는 것이 그들의 일이다.

호이가 우간다에 자리잡은 지 1년, 현지 교사들의 출석률은 눈에 띄게 좋아졌고, 학생 수도 급증했다. 그렇게 서서히 변화가 시작되고 있었다.

호이 프로젝트 10년…한국과 아프리카 교사의 동반성장

호이는 올해로 10년을 맞았다. 호이와 함께한 아프리카 케냐와 우간다 교사들은 이제 호이의 도움 없이도 자신만의 수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됐다. 한국 선생님들은 교사라는 직업을 이전보다 더욱 사랑하게 됐다.


"제가 교사로서는 부족한 사람인데 호이를 하면서 심장이 뛰는 듯한 느낌을 받았어요. 이제 제가 아이들을 가르칠 때도 살아있다는 느낌을 받아요."
- 박 에스터/서울 신내중학교 교사 -

호이의 구성원인 한국 선생님들은 호이 프로젝트로 또 다른 삶을 만나게 됐음에 감사한다. 아프리카 아이들에게 질 좋은 수업을 제공하려 현지 교사들과 머리를 맞대고, '교육'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하면서 그들 역시 성장하고 변화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한 개인의 작은 발상에서 출발해 사람을 모으고, 마음을 더해 아프리카에 변화를 가져오기까지. 결코 쉬운 여정은 아니었다.

한국과 아프리카 교사의 동반성장은 '희망이 교육이며, 그 희망을 가장 잘 퍼뜨릴 수 있는 것은 다름 아닌 교사'라는 믿음 아래 서로에 대한 응원과 격려가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KBS 스페셜-아프리카로 간 선생님들, 호이(HoE) 10년의 기록'은 4월 20일(목) 밤 10시 KBS 1TV에서 방송된다.

[프로덕션2] 박성희 kbs.psh@kb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