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조식품 사전검사제 논란_빙고 클럽은 진짜 돈을 번다_krvip

건강보조식품 사전검사제 논란_싸움에 돈을 걸다_krvip

건강보조식품 사전검사제논란; 김행진 보건사회부위생정책과장 이연호 건강보조식품협회장 인터뷰; 가게에 진열된 각종 건강보조식품 들



김 홍 앵커 :

건강보조식품에 대한 유통 전 사전검사제가 다음 달부터 실시됩니다.

그러나 업계에서 강력히 반발하고 있어서 시행여부가 불투명해지고 있습니다.

건강보조식품 사전검사를 둘러싼 당국과 업계의 마찰, 유연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유연채 기자 :

지난해 전반적인 경기침체 속에서도 700억 원의 매출고를 올린, 이 알로에 식품을 비롯해서 앞으로 건강 보조식품에 대해서는 합격증이 나오기까지는 시중에 판매되지 못합니다.

지난 86년부터 신종식품으로 등장한 건강 보조식품은 식품이 아닌 특효약으로 또는 보신을 위한 특수식품으로 과대 선전돼 물의를 빚기도 했으나 국민의 건강에 대한 관심도와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지난 한 해 3천억 원의 매출액을 내는 급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제 사전검사제의 도입으로 각광받는 이 식품시장은 당국의 엄격한 통제아래 놓이게 됐습니다.


김행진 (보사부 위생정책과장) :

합격된 제품에 대해서는 국민들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소비자도 보호되고 또 이 부분의 식품업체도 품질관리를 철저히 하도록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는데 이 제도시행이 체결됐습니다.


유연채 기자 :

이에 대해 업계 측은 이번 조처가 현실을 도외시한 이중행정의 표본으로 적어도 1년간의 유예기간을 주지 않으면 수용할 수 없다고 반발하고 있습니다.


이연호 (건강보조식품 협회장) :

이중으로 사전 허가 제도를 도입해가지고 막대한 비용이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이 제도를 갖다가 시행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시설기준을 강화해서 시설을 보강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유연채 기자 :

업계 측은 국민건강 보호를 앞세운 사전검사제가 실시될 경우 합격판정 때까지의 제품 재고부담 등 연간 600억 원의 손실을 주면서 까지도 당국이 오히려 검사수수료 등으로 20억 원의 새로운 재원을 확보하겠다는 것이 이 제도를 강행하려는 저의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당국과 업계의 이 같은 마찰로 건강보조식품에 대한 사전 검사제는 다음 달 부터의 전면 실시가 사실상 어려워졌으며 국민 건강보호라는 본질 또한 흐려지고 있다는 지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