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콘돔회의 개최하는 김성훈 유니더스 대표 _치과 조수는 얼마를 벌나요_krvip

국제콘돔회의 개최하는 김성훈 유니더스 대표 _원주민들은 카지노를 가질 수 있습니다_krvip

"콘돔은 더 이상 음지의 제품이 아닙니다." 이달 8일 국제 콘돔회의를 국내서 처음 개최하는 유니더스 김성훈 사장(40)은 4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콘돔은 에이즈 확산을 방지하고 피임을 도와주는 가장 안전한 도구"라면서 "국제회의를 통해 우리의 콘돔기술을 국제표준에 반영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며 이렇게 말했다.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은 세계 최대 콘돔생산업체인 유니더스[044480]의 후원 속에 오는 8~14일 제주도에서 전세계 50개국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24차 국제 표준화기구 피임기구 기술위원회 총회(ISO.TC 157)를 개최한다. 김 사장은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표준화기구(ISO)는 콘돔의 재질, 생산방법, 나라별 크기, 파열강도 등의 규격을 정해 발표하고 있다"면서 "우리나라의 경우는 과거 가난했던 시절 신체발달이 부진해 `남성'의 크기가 소형으로 분류됐지만 최근에는 표준형으로 승격됐다"고 소개했다. WHO는 전세계 각국의 연구기관 등을 통해 직간접으로 `남성'의 크기를 조사, 콘돔의 표준 규격을 정하고 있다. 현재 전세계 표준 크기인 일반형 콘돔의 규격은 길이 17㎝, 넓이 5.3㎝으로 정해져 있으며 소형은 길이 17㎝, 넓이 4.9㎝, 대형은 길이 20.5㎝, 넓이 5.7㎝ 등이다. 미얀마 등 일부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소형 국가들로 분류되고 있으며 호주, 미국, 프랑스 등 일부 서구 국가들은 대형, 우리나라를 포함한 대다수 국가들은 일반형이다. 김 사장은 "국제표준을 따르지 않으면 콘돔의 대량 입찰을 실시하는 세계보건기구(WHO), 유엔인구활동기금(UNFPA), 국제인구협회(PSI) 등에 제품을 납품할 수 없다"면서 "따라서 이번에 국내 규격이 국제표준으로 채택되는지 여부는 기업의 성장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콘돔은 세계적으로 80개업체에서 연간 120억개를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으나 실제 소비시장규모는 연간 80억개에 불과해 업체간 경쟁이 치열하며 최근에는 환율하락, 원재료가 상승 등으로 기업실적이 급격히 악화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김 사장은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콘돔의 형태, 기능, 두께 등에 대한 기술이 크게 발전하고 있다"면서 "최근에는 국소마취제가 콘돔 내부에 발라져 조루증이 있는 남성의 사정을 지연시켜주거나 두께가 얇아서 착용하지 않은 듯한 초박막형 제품이 잇따라 개발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국제 콘돔회의를 통해 피임도구인 콘돔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수준이 개선됨은 물론 국제 표준동향을 파악하고 국제표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기를 바란다"면서 "실제로 한국은 콘돔 생산 강국으로서 입지와 국제적 영향력을 더욱 늘리게 될 것"이라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