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현장 난감한 문화재 발굴 _내부 슬롯 로드 레코더_krvip

개발 현장 난감한 문화재 발굴 _마네킷 슬롯 게임_krvip

<앵커 멘트> 외국을 많이 다녀온 분들은 우리나라처럼 공사가 많은 나라도 드물다고 합니다. 문제는 땅 속에 묻혀있는 수많은 유적과 문화잽니다. 턱없이 모자란 문화재 발굴 인력과 이에 따른 문제점을 송형국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올해 말부터 입주가 시작될 판교 택지개발 지구입니다. 여기서 지난달 초까지 백제 돌방무덤 9기를 포함해 모두 11기의 고분이 발견됐습니다. 백제 분묘양식의 변천과정 등을 밝히는 데 중요한 사료로 문화재보호재단 조사단이 9기의 고분에 대한 현장 보존조치 의견을 문화재청에 냈습니다. 하지만 택지를 개발하는 입장에선 여간 곤란한 문제가 아닙니다. <인터뷰> 이치훈(토지공사 판교사업단 개발팀장) : "지금 발굴된 유구가 현지 보존이 될 경우에 유구가 위치해 있는 고등학교 건립이 어려워지고 IT연구소 건축계획도 무산이 됩니다." 발굴 지점이 자립형 사립고 부지 등으로 현장 보존조치가 결정될 경우 주변 입주 예정자의 첨예한 이해관계가 얽히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처럼 개발 논리와 문화재 보존 필요성 사이에서 언제든 난감한 경우가 반복될 수 있지만 제도는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문화재청이 발굴을 허가한 매장문화재는 약 1300건으로, 2000년 이후 4배가 급증했습니다. 개발 증가에 따라 문화재 발굴 수요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지만 문화재 조사원들은 올해 1년치 계획이 이미 짜여져 있을 만큼 전문인력은 턱없이 부족한 상태입니다. 조사원에 대한 처우가 낮아 지난해 문화재청이 공공발굴 조사단원 50명을 모집했지만 39명이 지원해 5명만을 뽑는데 그쳤습니다. 인력이 절대 부족해 조사원들은 장소를 계속 옮겨가며 거의 일년 내내 발굴작업에 매달립니다. 문화재 보존을 위한 충실한 조사가 힘들다는 얘깁니다. <인터뷰> 윤선영(한국문화재보호재단 문화재조사연구원) : "중요한 유구들이 나오게 되면 좀더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조사기간을 맞추는 게 힘들고, 그러면 또 인력이 들어가야 되는데 그것도 쉬운 문제는 아니고..." 혹한의 날씨에 작업을 할 경우 발굴 인력도 힘이 들지만 문화재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우려합니다. <인터뷰> 이건무(한국 고고학회 회장) : "사실은 우기나 혹한기에는 발굴조사를 피하게 돼있습니다.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하면서 토층 확인하기도 어렵고 유구가 많이 훼손되는 경우가 생깁니다." 학계 전문가들은 발굴 작업이 개발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선 공사 계획 단계에서 지표조사 등 문화재 매장 가능 지역에 대한 사전조사를 의무화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인터뷰> 이건무(한국 고고학회 회장) : "개발계획이 확립이 되기 전에 사전에 문화재 조사를 하고, 그리고 계획을 수립하면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겁니다." 이런 점을 감안해 문화재청은 오는 3월 학계와 건설업계 관계자 등이 참여한 공청회를 시작으로 매장문화재 제도개선 작업을 추진합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