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해산물 중금속 낮은 수준 _송장으로 돈을 벌다_krvip

국산 해산물 중금속 낮은 수준 _베팅 콜 컵_krvip

국산 식품의 중금속 잔류량은 안전한 수준이지만 해산물에서 농도는 다른 식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쌀과 김치 등 다소비 식품 113종의 중금속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모든 식품이 기준에 적합했다고 3일 밝혔다. 식약청이 한국인 식품섭취량의 86.4%를 차지하는 다소비·다빈도 식품 113종의 중금속 오염도를 지난해 6월부터 지난 4월까지 조사한 결과 평균 중금속 오염도는 납이 0.02㎎/㎏, 카드뮴 0.04 ㎎/㎏, 수은 0.008㎎/㎏으로 측정됐다. 이같은 오염도를 근거로 산출한 한국인의 중금속 섭취량을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중금속 주간섭취허용량(PTWI)'과 비교하면 납은 3.18%, 카드뮴 17.45%, 수은 6.01% 수준이다. 중금속 주간섭취허용량이란 평생 섭취해도 위험하지 않은 주간 섭취량을 설정한 것이다. 식약청 김동술 오염물질과장은 "식품을 통한 중금속 위해 정도는 안전한 수준으로 유럽연합(EU), 미국 등의 국가와 유사하거나 더 낮다"고 설명했다. 조사 대상 식품 가운데 수은 오염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식품은 조기(0.071㎎/㎏)와 고등어(0.042㎎/㎏), 광어(0.087㎎/㎏), 갈치(0.082㎎/㎏), 오징어(0.038㎎/㎏) 등 어류가 주를 이뤘다. 납 오염도 상위 식품은 건멸치(0.193㎎/㎏), 무청(0.132㎎/㎏), 바지락(0.254㎎/㎏), 미역(0.137㎎/㎏), 시금치(0.040㎎/㎏)이고, 카드뮴은 김(1.660㎎/㎏), 미역(0.418㎎/㎏), 시금치(0.079㎎/㎏), 말린 오징어(0.556㎎/㎏) 오징어(0.169㎎/㎏) 순으로 검출됐다. 김 과장은 "오염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식품도 기준치에는 전부 미달했으며 이들 식품을 극단적으로 많이 섭취하는 집단이라도 주간섭취허용량 이하로 섭취하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강조했다. 한편 폐광지역 등 중금속 오염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의 농산물은 농림수산식품부와 환경부의 관리·감독을 받으며 기준을 초과한 식품은 시중 유통되지 않는다고 식약청은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