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동원 명부, 유네스코 유산 등재 추진한다_자본 이득을 거부하다_krvip

강제동원 명부, 유네스코 유산 등재 추진한다_유아 교육의 숫자 빙고_krvip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실태가 기록된 피해자 명부를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등재하는 방안이 정치권과 학계를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대상으로 거론되는 명부는 최근 주일 한국공관에서 60년 만에 발견된 '일정시 피징용자 명부'와 1957∼1958년 정부가 강제동원 피해신고를 받아 작성한 '왜정시 피징용자 명부', 국무총리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 희생자 지원위원회'(이하 위원회)가 자체조사를 통해 작성한 명부 등이다. 2일 정치권과 학계에 따르면 새누리당 이명수 의원은 3개 명부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국회 차원에서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의원실 관계자는 "명부가 강제동원 피해 사실을 증명하는 귀중한 기록인 만큼 이를 활용하는 방안을 고민해왔다"며 "명부를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하는 방안을 국회 상임위나 동북아역사왜곡대책특위에서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일본은 전범기업이 한국인 강제징용자를 착취한 장소를 산업화 유적이라며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등재하려 한다"며 "우리도 문화재로서 가치가 높은 명부를 세계적으로 알릴 필요가 있다"고 했다. 역사학계도 명부가 일제의 만행을 확인하는 귀중한 자료라는 점에 공감하고 구체적인 등재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피해조사와 보상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는 일제 강제동원·평화연구회가 주축이 됐다. 연구회 대표인 황민호 숭실대 교수는 "피해자 명부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지닌 유산을 발굴·보전한다는 유네스코의 목적에 적합한 문화유산"이라며 "기록을 평화와 인권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는 자료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 교수는 "일단 국내에서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위원회를 만들어 관련 자료를 정리·분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며 "전시회나 세미나를 통해 등재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이끌어내는 등 다방면에서 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일정시 피징용자 명부'는 한국 정부가 1953년에 작성한 것으로, 피징용자 명부 중 가장 오래된 원본 기록으로 추정된다. 강제징용자 22만9천781명의 동원기록이 65권으로 정리됐고 최근 주일대사관 이전 과정에서 발견됐다. 1957∼1958년 당시 노동청이 강제동원 피해신고를 받아 작성한 '왜정시 피징용자 명부'는 50여년간 방치되다 2006년 전국적인 검증조사를 걸쳐 동원 피해자들의 증빙자료로 가장 많이 활용하는 자료로 재탄생했다. 피해자 29만명이 수록됐다. 위원회도 민관에서 수집한 각종 강제동원 명부 345건을 수집해 관리하고 있다. 이 명부에 실린 11만명은 다른 명부에는 실리지 않은 피해자들로, 위원회는 2005년부터 4년 동안 구술·문헌·진상 조사를 통해 이들의 피해 사실을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