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도가자 신청 금속활자, 보물 가치 없어”…진위 논란 종지부_내가 받은 소중한 선물_krvip

“증도가자 신청 금속활자, 보물 가치 없어”…진위 논란 종지부_베팅 비행사_krvip

가장 오래된 고려시대 금속활자라는 주장이 제기돼 진위 논란이 일었던 '증도가자 신청 금속활자'에 대해 보물 가치가 없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이로써 지난 2010년 9월 다보성고미술이 공개해 일반에 알려진 증도가자의 진위 논란은 7년 만에 종지부를 찍게 됐다.

문화재청은 오늘(13일) 오후 서울시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오늘 개최된 문화재위원회 동산분과 회의에서 '증도가자 신청 금속활자' 101점의 보물 지정 안건을 심의한 결과, 부결했다"고 밝혔다. 문화재청은 "해당 활자가 오래된 금속활자일 가능성은 있지만, '증도가'와의 서체 비교 등 과학적 조사 결과, '증도가'를 인쇄한 활자로 보기 어렵다"며, "보물로서의 가치가 충분히 입증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증도가자는 보물로 지정된 불교 서적인 '남명천화상송증도가'(증도가)를 인쇄할 때 사용했다는 활자다. 현재 남아있는 보물 '증도가'는 1239년에 제작된 목판으로 찍은 책으로, 이 목판본 이전에 금속활자로 만든 주자본이 있었다고 전해지지만, 지금은 남아 있지 않다. 증도가자가 진품으로 공인되면 1377년 간행된 금속활자본인 ‘직지’보다 최소 138년 앞서는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가 되는 셈이어서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하지만 문화재위원회는 해당 활자와 증도가의 서체 비교, 성분 분석, 주조와 조판(판에 활자를 맞춰서 짜 넣는 작업) 등을 검증한 결과, 증도가를 인쇄한 활자로 보기 어렵다고 결론지었다.

우선, 서책의 글자와의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글자의 모양과 각도, 획의 굵기 등에서 평균 유사도가 낮았고, 유사도 편차의 범위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활자와 먹의 성분 분석 결과 청동 재질의 오래된 금속활자로 추정되지만, 시대를 특정하긴 어려운 것으로 분석됐다. 문화재청은 "지난해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 3개 기관에서 실시했던 먹의 탄소연대 측정 결과를 인정해 그 시대가 12세기 초 정도로 추정된다"면서도 "그 이후 보존환경의 신뢰성이 검증되지 않아 먹의 연대측정 결과로 활자의 연대를 추정하는 데는 무리가 있다"고 결론내렸다.

조판 실험 결과도 실제 증도가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행 15자로 돼 있는 증도가 서책과 달리 해당 활자는 1행에 14자만이 들어갔고, 증도가 서책과 비교해 좌우 열도 균일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재청은 출처와 소장 경위가 불분명하다는 점도 지적하면서 "오래된 활자일 가능성은 인정하지만, 고려시대때 활자라고 판단하기도 어렵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