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소득 2만 7천 달러…또 못 넘은 3만 달러 벽_카지노 경매 리오 그란데_krvip

국민소득 2만 7천 달러…또 못 넘은 3만 달러 벽_이기기 가장 쉬운 내기는 무엇입니까_krvip

<기자 멘트>

우리경제가 국민소득 3만달러 문턱에서 또 주저앉았습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총소득', GNI는 '2만 7천 5백' 달러, 우리 돈으로 '약 3천 190만 원'을 기록했습니다.

1인당 국민총소득이 2만 달러를 처음 넘은건 지난 2006년입니다.

2009년 세계 금융위기 때 만 달러 대로 떨어졌다가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지만, 최근 3년동안은 2만 7천 달러대에서 제자리 걸음입니다.

1인당 국민총소득이 3만 달러 이상인 나라는 26개인데요. 아시아에서는 일본과 싱가포르가 해당합니다.

미국,영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이 2만달러에서 3만 달러 넘어서는데 걸린 기간 보면은요.

짧게는 5년, 길게는 9년 정돕니다.

그런데, 우리는 10년 넘게 2만 달러대에 머물러 있는겁니다.

가장 큰 원인은 경제 성장률 둔홥니다.

지난해 국내 총생산, GDP 증가율은 2.8%에 그쳤습니다.

실제로 최근 5년간 성장률 보면 2014년만 3%대 였고, 나머지는 2%대 '저성장'입니다.

그나마도 건설투자가 떠받힌 성장률입니다.

문제는, 2만 7천달러대 국민소득마저도 서민 가계에선 체감하기 힘들다, 이런 목소리가 나오는 겁니다.

왜 그럴까요?

1인당 국민총소득 통계에는 기업과 정부 몫도 포함돼 있기 때문입니다.

'1인당 국민소득'은 우리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인구 수'로 나눈 개념입니다.

총 소득에는 정부와 기업, 가계의 소득이 모두 포함돼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서민들은 자기 소득보다 많은 돈이 국민 총소득으로 잡힌다고 느끼게 되는겁니다.

실제로, '국민 총처분가능 소득' 중에서 가계가 차지하는 비중은 56.7%에 불과합니다. 정부 비중은 23.1%, 기업은 20% 정돕니다.

그런데, 좀 이상합니다.

1인당 국민총소득, 2만 달러 문턱에서도 우리는 '선진국 진입'이란 얘기를 했습니다.

1인당 국민소득이 얼마나 되느냐는 선진국 척도 중에 하나이긴 합니다.

하지만, 단순히 숫자 3만달러 달성보다 더 중요한 게 '경제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느냐'의 문젭니다.

성장 동력 꺼지면 분배도, 복지도 힘들어질 수 밖에 없겠죠.

그래서 흔히 우리 경제를 굴러가지 않으면 쓰러지는 '두 바퀴로 가는 자전거'에 비유하곤 합니다.

지금 우리 경제 보면, 소득이 줄어서 소비가 위축되고, 이게 다시 기업의 투자와 고용에 악영향을 미치고, 다시 소득 감소로 돌아오는 악순환에 빠져 있습니다.

이게 문젭니다.

10년 가까이 '3만 달러 문턱' 못 넘고 있다는 건 손쉽게 동원하는 단기 부양책 대신, 경제 체질 강화하는 구조개혁의 청사진, 필요한 시점이란 얘기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