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퇴자 자산 부동산 편중 ‘뚜렷’_기본 포커 전략_krvip

국내 은퇴자 자산 부동산 편중 ‘뚜렷’_사진을 좋아하고 돈을 버는 앱_krvip

전문가 "현금화 어려워..은퇴자산 다양화 필요" 우리나라 은퇴자 3분의 2 이상이 주된 은퇴자산으로 부동산을 꼽아 재테크 편중현상을 보였다. 그러나 부동산은 현금화가 어려운 단점이 있어 비상시 대처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금융자산과 부동산을 적절히 배분할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다. 21일 미래에셋 퇴직연금연구소가 서울과 수도권 55세 이상 은퇴자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공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은퇴자들의 주된 자산으로 부동산이 76%를 차지했다. 예금과 적금 또는 퇴직금과 퇴직연금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각각 6.8%, 6.0%에 그쳤다. 또 은퇴자 대부분이 다시 은퇴를 준비하게 되더라도 부동산을 이용해 은퇴자산을 축적하겠다고 답했고, 은퇴 전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은퇴자산의 부동산 집중도가 높았다. 삼성생명은퇴연구소가 서울과 수도권·광역시에 사는 2천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노후준비 방법 1위로 임대용 부동산(35.2%)이 꼽혔다. 그러나 부동산을 제외한 다른 노후자금 수단 마련에는 아직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생명은퇴연구소는 "2010년 기준 우리나라 가구의 보험가입률은 96.7%에 이르지만, 중저가 보장성 보험(84.7%)과 어린이 보험(39.3%)에 치중돼 있고, 사망보장과 노후자금 등으로 활용 가능한 종신보험(38%), 연금보험(22.3%) 가입률은 비교적 낮다"고 밝혔다. 주택을 활용한 은퇴자금 마련에도 소극적이었다. 한국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2007년 7월12일 출시한 주택연금 2월 현재 누적 가입자 수는 4천600명이다. 지난해 11월 245명이 신규가입하는 등 지난해 2월부터 매달 100명 이상씩 가입자가 늘고 있긴 있지만, 역모기지가 노후자금 마련 방법으로 대중화돼 있는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하면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미래에셋 퇴직연금연구소 손성동 연구실장은 "우리나라 사람들은 주택을 상속의 수단을 생각하기 때문에 주택연금에 가입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면서 "주택연금 가입으로 주택 소유주가 바뀜에 따라 느끼는 상실감 역시 원인이 된다"고 말했다. 손 실장은 그러나 "부동산은 당장 현금화하기 어렵기 때문에 1주택자의 경우 병이나 사고로 돈이 필요할 때 난처한 상황에 빠질 수 있으니 연금 등 노후자금 마련 수단을 다양화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이어 "주택연금은 수령액이 상당하고 상속으로 인한 가족 간 불화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편안한 노년을 보내기 위한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금융투자협회 관계자 역시 우리나라 가계자산 중 부동산을 포함한 비금융 자산 비중이 크게 높은 점을 지적하면서 "그러나 인구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사람들이 점차 금융투자상품으로 눈을 돌릴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분기 기준 한국 가계자산 중 부동산 등 비금융자산 비중은 79.6%로, 미국(35.1%), 영국(54.8%), 일본(41.3%)을 훨씬 웃돈다. 이런 가운데 미래에셋 퇴직연금연구소에서 발표한 우리나라 은퇴자들의 실제 은퇴연령은 평균 56.3세로, 정년규정인 60.4세나 희망은퇴연령 63세보다 크게 낮았다.